본문 바로가기
주식관련

감액배당하는 기업들

by 미친머니 2025. 3. 15.

최근 국내상장기업들은 기업밸류업과 기업가치제고를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 가운데 2023년 메리츠금융지주가 자본준비금을 이익잉여금으로 전환해 감액배당을 시행한 뒤 여러 국내기업들이 감액배당을 위해 주총을 통해 자본준비금의 이익잉여금 전입의 건을 제출 통과시킨 뒤 감액배당을 진행하거나 추진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배당소득세 없이 전액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는 감액배당에 대해 알아보고 최근 감액배당 하는 기업들을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액배당-하는-기업들
감액배당하는 기업들

 

 

감액배당이란?


감액배당은 기업이 보유한 자본준비금을 이익잉여금으로 전환해 자본준비금을 감액하는 방식으로 마련한 해당재원으로 배당금을 하는데 해당 배당은 일반배당과 달리 세법상 비과세 즉 배당소득세 15.4%를 징수하지 않고 배당금을 100%를 온전하게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예를 들어 배당금이 100만 원을 받게 된다면 배당소득세 15.4%를 원천징수로 제외한뒤 84만 6천 원에 배당을 받게 되지만 감액배당을 하는 기업에 배당금 수령 시 100만 원에 배당금을 받게 된다면 배당소득세 없이 100만 원에 배당금을 받게 됩니다.

 

지속적으로 주주의 가치를 위해 비과세배당 즉 감액배당하는 기업들이 증가하고 있지만 미래 성장이나 투자를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자금 여력은 줄어들 수밖에 없고 또한 자본준비금과 이익준비금의 합이 자본금의 1.5배를 초과할 경우에만 비과세 배당이 가능해 모든 회사가 비과세 배당을 실시할 수는 없습니다.

 

 

 

 

감액배당하는 기업들


아래 감액배당하는 기업들은 이미 자본준비금의 이익잉여금 전입해 배당소득세 없이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거나 지급할 계획을 가진 기업들입니다.

 

감액배당하는 기업들

 

서흥

시노펙스

셀트리온

진에어

서부 T&D

에스디바이오센서

율촌

아이디스

디지털대성

씨앤투스

넥스틸

크레바스

롯데하이마트

신영증권

동인기연

한미사이언스

제주항공

메리츠금융지주

동인기연 468억 원 규모

NICE 393억 원 규모

우리 금융지주 3조 원 규모

엘앤에프 4776억 원 규모

일동제약 1200억 원 규모

HS효성 3000억 원 규모

KCC글라스 923억 원 규모

동아쏘시오홀딩스 1000억 원 규모

레드캡투어 334억 원 규모

KT알파 1610억 원 규모

대신증권 4000억 원 규모

 

위 기업 외에도 많은 기업들이 감액배당을 진행 중이거나 진행하려 하고 있는데 개인적으로 투자하는 기업이 이번 주주총회 때 안건중 자본준비금의 이익잉여금 전입의 건의 안건이 포함되어 있고 해당안건이 통과된다면 이후 배당금은 해당 자금이 소모될 때까지 비과세 대상이 됩니다.

 

 

감액배당-종목
감액배당 종목

 

 

일반 배당의 경우 기업이 배당금 1천 원을 책정하면 주주들은 배당 소득세 15.4%를 제외한 846원을 받게 되지만, 감액 배당은 배당금 전부를 온전히 다 수령이 가능해집니다.

 

감액배당으로 배당소득세를 내지 않을 경우 해당 배당금은 금융종합소득세 대상에서도 빠지도록 정해 놓고 있어 고배당과 연 2천만 원 이상의 금융종합소득세대상자 그리고 최대주주와 상속세의 문제가 있는 기업들은 이런 감액배당을 세금 없이 자금을 수월하게 융통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감액배당이 기업에 좋은 이유는 잉여자본금 효율화로 자기 자본율 ROE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감액배당시 감액배당을 하는 기업들이 해당자금규모로 언제까지 비과세를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안내가 없어 일일이 투자자들이 확인해야 되지만 최근 자본준비금의 이익잉여금 전입을 안건으로 제시한 대신증권의 경우 4천억 원 규모로 감액배당을 진행할 예정이고 2025년 결산배당부터 4년 간인 2028년 결산배당까지 4년간 비과세배당을 시행할 거라 친절하게 기업가치 제고계획을 통해 알려줘 투자자들이 쉽게 비과세로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 시기까지 알려주었습니다.

 

비과세 배당을 위해 감액배당을 하는 기업이 많아진다면 추후 감액배당에 대한 과세방식을 변경할 수도 있으니 추후 그 점도 확인해야 될 거 같습니다.

댓글